본문 바로가기

GIT2

[Git] .gitignore 사용하기 코드를 작업한 후 git repository에 하나씩 넣는 것은 번거롭다. 그래서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add . 명령어를 이용해 변경된 전체 파일을 추가하고 커밋한다. 간혹 git을 커밋을 할 때 설정과 관련된 파일 등 git repository에 포함되면 안되는 파일이 있다. 그럴 때 .gitignore을 이용해 repository에 올리기 싫은 파일을 등록한다. 정확하게 git repository에 올리면 안 되는 파일 보안상으로 설정과 관련된 파일 프로젝트와 관계없는 파일 용량이 커서 제외해야 하는 파일 빌드할 때 마다 생성되는 *.lock 파일 사용법 git init 을 한 폴더에 .gitignore이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하나 만들어준다. repository와 연결하면 자동으로 생성된 경우도.. 2022. 12. 3.
[Git] Remote 브랜치에 잘못 올라간 파일 삭제하기 1. 원격(Remote)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아래의 명령어로 삭제하기 > git rm --cashed -r 파일명 2. 명령어 입력 후 commit 및 push 하기 > git add . > git commit -m "불필요 파일 삭제" > git push push 까지 진행 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면 불필요한 파일이 삭제된 것을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. 1번 명령어만 입력했을 때는 원격 저장소에 반영이 되는게 아니므로 commit과 push 명령을 통해 원격 저장소에 반영까지 해야한다. flutter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생성되는 파일인 pubspec.lock 파일이나 Podfile.lock 등 캐쉬 파일이 생성되는데, 이 파일들은 .gitignore 에 등록해 원격저장소에 등록이 안되게 처리를 해.. 2022. 11. 19.

\